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YTHON
- TouchableWithoutFeedback
- 실버1
- React #새파일생성
- 브루트포스
- FlatList
- 골드5
- KeyboardAvoidingView
- 이진탐색
- 딥러닝
- 괄호제거
- 11831
- 복잡도 측정
- 상담원 인원
- ReactNative
- 자료구조
- useHeaderHeight
- 3079
- 백준
- 이분탐색
- 그래프
- 2800
- 17089
- 수정렬하기4
- LV3
- 시간초과해결
- 큐
- 프로그래머스
- 머신러닝
- 그리디
Archives
- Today
- Total
지니 코딩일기
DFS/BFS에 대해 본문
DFS와 BFS에 대해 알아보자
DFS와 BFS는 그래프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므로, 그래프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그래프
- 노드 (Node)와 간선(Edge)으로 표현됨 - 노드는 정점 (Vertex)이라고도 함
- 그래프 탐색이란 하나의 노드를 시작으로 다수의 노드를 방문하는 것을 말함
-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 '두 노드는 인접하다'
- 표현 방법
- 인접 행렬 :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 인접 리스트 :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 인접 행렬 방식 예제
INF = 999999999 # 무한의 비용 선언
# 2차원 리스트를 이용해 인접 행렬 표현
graph = [[0, 7, 5].
[7, 0, INF],
[5, INF, 0]
]
# 인접 리스트 방식 예제
# 행(Row)이 3개인 2차원 리스트로 인접 리스트 표현
graph = [[] for _ in range(3)]
# 노드 0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노드, 거리)
graph[0].append((1, 7))
DFS (Depth-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 동작 원리
- 스택
- 구현 방법 : 재귀 함수 이용
- 동작 과정
-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있으면 그 인접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 한다.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 - 2번의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def DFS(graph, v, visited):
visited[v] = True
print(v, end='')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DFS(graph, i, visited)
graph = []
visited = [False]*9
DFS(graph, 1, visited)
BFS (Breadth-First Search)
- 너비 우선 탐색
- 가까운 노드부터 검색하는 알고리즘
- 큐 자료구조 이용
- 동작 원리
- 큐
- 구현 방법 : 큐 자료구조 이용
- 동작 과정
-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 큐에서 노드를 꺼내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 2번의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graph, start, visited):
queue = deque([start])
visited[start] = True
while queue:
v = queue.popleft()
print(v, end='')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queue.append(i)
visited[i] = True
graph = []
visited = [False]*9
BFS(graph, 1, visited)
'알고리즘 > 코테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과제 진행하기 (Python) (2) | 2024.03.05 |
---|---|
[백준] Python 시간초과 해결 방법 (0) | 2023.08.14 |
DFS/BFS에 대해 - 스택, 큐, 재귀함수란 ? (0) | 2023.04.12 |
알고리즘의 복잡도 (0) | 2023.04.10 |
숫자 카드 게임 (0) | 2022.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