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머신러닝
- 괄호제거
- React #새파일생성
- FlatList
- 그래프
- 상담원 인원
- 프로그래머스
- KeyboardAvoidingView
- LV3
- 17089
- 큐
- 이분탐색
- 자료구조
- 복잡도 측정
- useHeaderHeight
- 11831
- PYTHON
- 골드5
- 백준
- ReactNative
- 이진탐색
- 시간초과해결
- 3079
- 실버1
- TouchableWithoutFeedback
- 브루트포스
- 2800
- 수정렬하기4
- 그리디
- 딥러닝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9)
지니 코딩일기
2023/7/16 실버2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2805번: 나무 자르기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 www.acmicpc.net 🔎 분석 이분탐색 문제를 풀려고 선택한 문제. 이분탐색을 적용하면 되는 단순한 문제였다. 이분탐색 없이 그냥 접근하면 시간초과가 뜬다. 재귀로 이분탐색을 적용하고 예제를 돌렸는데, 이상하게 return값이 제대로 안 나왔다. 이유는 아직도 모르겠다 ㅠ 그래서 그냥 print 하도록 하여서 맞았습니다가 나왔다. 그리고 numpy 라이브..
2023/7/14-15 골드5 https://www.acmicpc.net/problem/17089 17089번: 세 친구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3 ≤ N ≤ 4,000), 친구 관계의 수 M(0 ≤ M ≤ 4,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친구 관계를 의미하는 두 정수 A, B가 주어진다. 친구 관계는 A와 B, 그리고 B와 A가 친 www.acmicpc.net 🔎 분석 생각보다 단순했던 문제. 문제를 보자마자 여러 명 중에서 3명의 친구를 골라야 한다고 생각해서 조합을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조합을 사용해서 빠르게 풀었다. 예제가 모두 돌아가서 제출했지만, 계속해서 메모리 초과가 나왔다. 연속해서 시간초과랑 메모리 초과가 뜨니까 이래서 어려운거구나 .. 하는 생각이 들었다..
2023/7/14 실버5 https://www.acmicpc.net/problem/11931 11931번: 수 정렬하기 4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숫자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www.acmicpc.net 🔎 분석 간단할 거라고 생각했고, 간단했던 문제. 단순히 reverse 정렬하면 되는 문제였는데, 계속 시간초과가 떴다. 📍TIP Input만 받아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python으로는 안 되는 건가 했는데 그냥 input을 반복문으로 돌리는 것 말고 하나의 Input이라도 sys.stdin.readline()으로 하는 것이 훨씬 빨랐다. 이것만으로..
2023/7/13 실버4 https://www.acmicpc.net/problem/2164 2164번: 카드2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www.acmicpc.net 🔎 분석 간단할 거라고 생각했고, 간단했던 문제. 근데 예외를 잊지 말자 ㅠ.. 📍TIP 1 같은 예제는 꼭 돌려보기! 💻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cards_list = deque([n for n in range(1, N+1)]) cnt = 0 while len(cards_list) > 1: if cnt%2..
2023/7/12-13 실버 4 https://www.acmicpc.net/problem/1158 1158번: 요세푸스 문제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K ≤ N ≤ 5,000) www.acmicpc.net 🔎 분석 간단할거라고 생각했던 문제. 고치고 나니까 실제로 코드도 간단했고 처음 생각한 대로 K번째 앞에 있는 숫자들을 전부 큐의 뒤에 push하고 K번째 숫자를 꺼내어 res_list에 저장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였다. 나는 이 방법 말고 실제 K번째를 구하고, 현재 index를 prev_idx로 저장해뒀다가 그걸 이용해서 다음 K번째의 index를 구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면 예외 상황들이 생기게 되는데, prev_idx+K-1의 값이 전체 배열..
2023/7/11 골드5 https://www.acmicpc.net/problem/2800 2800번: 괄호 제거 첫째 줄에 음이 아닌 정수로 이루어진 수식이 주어진다. 이 수식은 괄호가 올바르게 쳐져있다. 숫자, '+', '*', '-', '/', '(', ')'로만 이루어져 있다. 수식의 길이는 최대 200이고, 괄호 쌍은 적어도 1개 www.acmicpc.net 🔎 분석 굉장히 흔해 보이는 문제이고, 풀어봤겠지라고 생각했던 문제. 근데 막상 풀려고 하니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많이 고민했다. ✏️ 과정 1. ( 여는 괄호가 나오면 stack에 index를 저장해두고, ) 닫는 괄호가 나오면 그때 stack을 pop해서 가장 근처의 여는 괄호 index를 꺼내고 두 index를 묶어서 다시 배열..
딥러닝 강의를 들으며 언급되지만, 설명이 없었던 내용을 정리해보려 한다. 그 중에서도 이번에는 RNN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알아보자. 목차 1.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 2.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3. 시퀀스-투-시퀀스(Sequence-to-Sequence, seq2seq) 4. 기울기 소실(Gradient Vanishing)과 폭주(Exploding) 5. BLEU Score(Bilingual Evaluation Understudy Score)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 ➡️ 표현하고 싶은 단어의 인덱스에 1의 값을 부여하고, 다른 인덱스에는 0을 부여하는 단어의 벡터 표현 방식입니다. 이렇게 표현된 벡터를 원-핫 벡터(One-Hot vect..
딥러닝의 개념과 내용에 대해 기초부터 학습해보자. 딥 러닝(Deep Learning)은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의 특정한 한 분야로서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의 층을 연속적으로 깊게 쌓아올려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딥 러닝이 화두가 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의 비교적 최근의 일이지만, 딥 러닝의 기본 구조인 인공 신경망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되었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딥 러닝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1957년의 초기 인공 신경망인 퍼셉트론에서부터 설명을 시작하여 층을 깊게 쌓아 학습하는 딥 러닝까지 개념을 점차적으로 확장해보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이번 챕터에서는 피드 포워드 신경망과 같은 기본적인 인공 신경망 용어들과 케라스의 사용..